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대성 이론2

중력파와 상대성 이론 17세기 대표적 학자인 아이작 뉴턴은 시간과 3차원 공간을 별로 다루는 중력 이론을 내세우며, 중력의 작용이 순간적으로 일어난다고 가정하였다. 즉, 질량이 가진 물체가 가속하더라도 시간이나 공간에는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1905년 아인슈타인은 질량을 가진 물체의 가속 운동에 의해 시공간에 잔물결 같은 요동이 발생하고 이것은 빛의 속도로 전달되며 시공간이 요동치게 된다며 뉴턴의 중력이론에 정면으로 반박을 한다. 중력파의 존재 아인슈타인은 바로 이 중력작용을 고려하여 4차원의 시공간을 기술할 수 있는 이론인 '상대성 이론'을 발표한다. 이듬해 1906년에 중력파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예측 하는 논문을 발표하며, 상대성이론을 기술할 때 중력파의 작용이 빠지지 않게 된다. 이론이 발표되고 수십.. 2018. 4. 16.
만물은 무엇으로 이루워져 있는가 - 초끈이론 초끈이론(superstring theory) 이란, 우주를 구성하는 최소단위를 연속해서 진동하는 끈으로 보고 우주와 자연의 원리를 밝히려는 이론으로서 1970~80년대에 미국의 물리학자, 존 슈워츠 와 영국 퀸 메리 대학의 마이클 그린 등이 발전 시킨 이론이다. 초끈이론은 우리가 사는 이 공간은 11차원으로 존재하고 있고, 이 세상의 모든 만물은 끈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즉, 우주의 구성 요소 하나하나 가 고유의 진통패턴을 갖고 있는 '끈' 이라는 관점에서 시작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초끈이론은 어떠한 배경에 의해서 생겨났고, 구조와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만물은 무엇으로 만들어져 있는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로 부터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던 물음이다. 우리 세상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으며 우.. 2018.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