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신비 21

태양계의 모든 생명체의 근원, 태양

우리 지구가 속히 있는 태양계 안의 가장 중심부 태양은 모든 생명체에 있어서 어머니와 같은 천체라 할 수있다. 오늘날 지구에서 모든 에너지로 소비되는 연료는 태양에서 얻은 직접적, 혹은 간적접 에너지이다. 지구의 33만배 이상의 무게 질량을 가지고 있는 태양은 태양계 내에서 유일한 빛을 내는 천제로 알려져 있지만 우저 전체로 따지면 수천억개의 별들 중에 아주 띠끌정도의 하나의 항성에 불과하다. 오늘은 이 생명의 원천인 태양의 구조 및 특징 그리고 태양의 미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태양의 표면 구성 태양의 표층은 표면과 대기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있는 태양의 표면을 '광구' 라고 하며, 이를 둘러싸고 있는 하층대기를 '채층' 그리고 상층대기를 '코로나' 라고 부른다. 광구..

아직 풀리지 않은 우주의 미스테리, 화이트 홀

흔히 엄청난 중력이 작용하여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우주의 블랙홀 존재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지만, 화이트 홀에 대해서는 들어본적이 별로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이트 홀이란, 블랙홀 과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블랙홀 처럼 끌어당기만 하는 세계가 있다면, 반대로 물질이 내부로 들어갈 수 없는 내뿜기만 하는 세계인 화이트 홀이 존재 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론에서만 존재하는 세계 일뿐 아직까지 어떻게 형성이 되고 진행과정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매커니즘에 대해 아는 사람이 없다. 그래서 화이트홀은 더욱더 미스테리한 이론속에만 존재하는 천체인 것이다. 화이트홀에 대한 연구는 현재 진행중이며 천문학자들은 이것이 실존한다면 블랙홀 반대편에는 무엇이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도 ..

항성의 탄생과 진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별의 또 다른 이름이 항성이다. 별은 항상 밤하늘에 존재하며 종종 영원에 비유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영원의 상징인 별 또한 모든 생명체 처럼 탄생과 죽음을 거친다. 단지 우리는 그 변화를 인지하지 못할 뿐이다 왜냐하면 별이 탄생하면서 소멸하기 까지의 엄청난 시간에 우리 인간의 인생은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명주기는 100년 정도라고 한다면, 별의 수명은 대략 100억년이라고 하니, 이는 흡사 하루살이가 태어나 하루를 살며 인간의 모습을 관측하는 것과 같은 모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가끔 뉴스를 통해 별이 폭팔했다는 소식을 듣곤 하는데, 이렇게 폭팔하는 별을 '초신성'이라 한다. 바로 이것이 별이 죽음에 이르는 순간이다. 그렇다면 별은 어떻게..

우주의 미래 예측

오늘날 관측우주론은 허블에 의해서 시작을 하였고, 이 후 과학기술 발전에 따라서 거대 블랙홀을 포함한 퀘이사의 발견 그리고 우주를 가득채우고 있는 우주배경복사의 발견, 중력에 의해서 빛이 휘어져 보이는 중력렌즈의 발견 등 많은 발전을 하였다. 우주의 구조와 상태를 더욱 정확히 밝히기 위해서, 팽창하고 있는 우주의 은하단, 초은하단 등 거대 구조의 생성과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이를 배경으로 하여 우주 우주가 어떻게 진행 될지 예측해 볼 수 있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측과 이론을 통해서 시도를 해봐야하는데, 이 중 최근 가장 논란이 되었던 우주 나이와 우주 인자 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자. 과거와 미래를 우주인자 우주의 구조 및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우주 물질의 양과 은하의 운동상태에 ..

우주는 언제까지 팽창 할까? (인플레이션 우주)

지금까지 우리는 우주가 139억년 전 우주대폭발(빅뱅)에 의해 현재의 우주가 생겨났고, 그의 여파로 인해 현재까지도 팽창을 계속 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상식적인 수준이 되었다. 하지만 궁금증이 생겼다. 그렇다면, 이러한 팽창이 언제까지 지속 될 것이며 팽창이 멈추었을 때의 우주는 어떤 모습일지 천문학자들 사이에서도 서로 의견이 많이 다르다. 과연 우주에 끝이란게 존재 할까? 모든 생명체와 같이 우주도 나이를 먹으면 언젠간 소멸하지 않을까? 이런 호기심과 궁금증에 기반하여 여러 가지의 우주론이 등장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도 우주는 커다란 미스테리로 남아있다. 무한한 우주의 시초 우리가 지구 밖에서 지구를 바라 볼 수 있듯이 우주의 끝이 있다면 그 넘어에서 우주를 바라 보면 어떤 모습일까? 오늘날 우주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