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신비/미스테리 천체 9

항성의 탄생과 진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별의 또 다른 이름이 항성이다. 별은 항상 밤하늘에 존재하며 종종 영원에 비유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영원의 상징인 별 또한 모든 생명체 처럼 탄생과 죽음을 거친다. 단지 우리는 그 변화를 인지하지 못할 뿐이다 왜냐하면 별이 탄생하면서 소멸하기 까지의 엄청난 시간에 우리 인간의 인생은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명주기는 100년 정도라고 한다면, 별의 수명은 대략 100억년이라고 하니, 이는 흡사 하루살이가 태어나 하루를 살며 인간의 모습을 관측하는 것과 같은 모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가끔 뉴스를 통해 별이 폭팔했다는 소식을 듣곤 하는데, 이렇게 폭팔하는 별을 '초신성'이라 한다. 바로 이것이 별이 죽음에 이르는 순간이다. 그렇다면 별은 어떻게..

불가사의한 존재, 블랙홀

블랙홀을 발견한지 10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블가사의한 존재로 남아있는 존재, 블랙홀. 지금까지도 수많은 블랙홀이 발견 되고 있지만 여전히 베일에 싸여있는 존재이다. 은하 중심부 마다 있는 블랙홀은 암흑의 핵심으로서 엄청나게 큰 대질량의 블랙홀 같은 경우에는 태양계 수십개가 들어갈 정도라고 하니 그 크기가 감히 상상조차 되지 않는다. 이 처럼 신비롭고 불가사의 한 존재인 블랙홀 안에는 별을 포함한 각종 천체와 미지의 생명과 같은 우주의 비밀이 있다. 블랙홀이란? 일반적으로 별은 비슷한 물질들이 중력에 의해 서로 모여 만들어 진다. 그리고 그 별의 중심에서는 엄청난 양의 수소 폭탄이 폭팔을 하고, 그 안에서 안으로 끌어당기고 바깥으로 내보내는 수소폭탄이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제 수소가 다 타..

지구 처럼 생존 가능한 행성이 있을까?

아주 오래전 부터 UFO 와 외계인에 대한 여러가지 루머와 영상들을 접하며 관심있게 보곤 했었는데, 과연 외계인은 존재 하는가 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는것 같다. 나는 개인적으로 외계인의 존재를 믿으며 분명 이 드넓은 우주 안에 어디에선가 지구와 같은 환경 안에서 또 다른 생명체가 존재 할 것만 같은 생각을 떨칠수가 없다. 실제로 미국 항공 우주국(NASA) 에서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가진 행성의 탐사의 목적으로 2009년에 케플러 우주망원겨을 우주에 쏘아 올려 현재 까지 약 2000여개가 넘는 행성을 발견 하였고, 이 가운데 50개 정도는 지구와 같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행성으로 분류 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행성들 가운데 실제로 생명체가 존재 할 수 행성 과 이주도 가능한 행성이 존..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은 얼마나 클까?

지난 겨울에 해외여행을 다녀오면서 비행기 안에서 창문을 통해 세상을 내려다 보면서 새삼, 이렇게 세상이 넓다고 하지만 높은 곳에서 내려다 본 모습은 너무나 작고 초라 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하물려 지구 밖으로 떠나 우주정거장에서 생활 하는 우주인들은 지구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들까? 그렇다면, 우리 지구는 우리 은하계 안에서 얼마나 큰 존재 인지, 지구 보다 큰 별들은 얼마나 있고 도대체 얼마나 큰 것인지 에 대해 한번 알아보고자 한다. 우주에서 가장 큰 별? 일반적으로 지구의 크기를 논할 때 가장 비교가 되는 항성은 태양일 것이다. 태양은 지구의 약 109배 정도의 어마어마 한 규모를 자랑 하지만, 이 엄청난 태양 훨씬 큰 수천만, 수억개의 항성들이 존재 한다니 단순 상상만 해도 소름끼칠 정도이니 우주의..